요즘에 슬슬 주류언론에서 2012 멸망설을 다루기 시작했습니다. 게다가 영화 2012까지 11월초에 개봉하는군요.
저또한 요새 궁금했습니다. 2012년엔 뭐가 있을까..있기는 할까. 그 궁금증은 헐리우드 영화의 지난 주요 소재를 살펴보니 답이 보이더군요.

첩보영화를 만들면 소련을 겁내고, 중동 대테러 영화를 만들면 테러위협에 겁내게 되고 환경재앙 영화를 만들면 지구온난화….
결국 이러한 모든 아젠다들의 최종목적은 돈과 공포인데요 여느때와는 다르게 공포에 한번 포커스를 맞추어볼까요?

환경재앙설은 2012년 12월 21일 까지 많은 멸망론자를 양산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날을 정점으로 1999년이나 Y2K처럼 또 하나의 공갈빵사건으로 기억속에 묻히게 되리라 생각합니다.
정식으로 누가 발표한 적 없는 멸망론이니까 믿은 사람이 바보겠지요? 하지만 이러한 공포조장의 파급효과는 우리가 생각하는것보다 큽니다.

인간의 감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2가지는 사랑과 공포라고 합니다. 다른 감정은 기본 2가지의 조합이라더군요.
사람이 사랑에 사로잡힌 순간 잠재력은 극대화 되며 아기를 위해 괴력을 발휘하는 엄마들의 예로 타당성 있어 보입니다.
반대로 공포에 사로잡힌 순간 잠재력의 발현가능성은 제로가 되어 눈먼토끼가 되어버리지요.

그럼 자동차를 들어올리는 엄마의 괴력이 인간의 잠재성의 전부는 아니겠지요?
고대 역사에서 세상을 바꾼 영웅들.. 그들이 보여주었던 창의력, 용기, 의지, 자신감, 그리고 그로인한 대중의 추종, 이런것들도 잠재성의 하나로 우리 모두에게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실직, 빚, 죽음에 대한 공포로 억눌려 있던 우리를 폭발시켜 사람다운 삶을 살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그 무엇. 많은 사람들이 껍질을 깨고 나왔을 때의 파괴력은 지배충에게 무엇보다도 큰 위협이 됩니다.

아 카페에서 요즘 많이 듣는 얘기중 하나가 아는만큼 보인다 입니다.
최근 읽고 있는 로마인이야기에서 카이사르가 했던 말도 생각납니다.
‘누구나 현실을 볼 수 있는건 아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보고싶은 현실만 본다.’

회사에서 점심으로 생식을 먹으며,, 조금 더 현실에 눈을 뜨고싶어지는 하루였습니다.